文化大學機構典藏 CCUR:Item 987654321/51843
English  |  正體中文  |  简体中文  |  全文笔数/总笔数 : 46867/50733 (92%)
造访人次 : 11887792      在线人数 : 754
RC Version 6.0 © Powered By DSPACE, MIT. Enhanced by NTU Library IR team.
搜寻范围 查询小技巧:
  • 您可在西文检索词汇前后加上"双引号",以获取较精准的检索结果
  • 若欲以作者姓名搜寻,建议至进阶搜寻限定作者字段,可获得较完整数据
  • 进阶搜寻
    主页登入上传说明关于CCUR管理 到手机版


    jsp.display-item.identifier=請使用永久網址來引用或連結此文件: https://irlib.pccu.edu.tw/handle/987654321/51843


    题名: 韓語「感嘆詞言談標記」涵義機能研究
    A Study on Functional Meanings of Korean Interjection Discourse Markers
    作者: 鄭筱卉(CHENG, HSIAO-HUI)
    贡献者: 韓國語文學系
    关键词: interjections
    discourse markers
    감탄사
    담화표지
    日期: 2022
    上传时间: 2023-03-24 11:01:33 (UTC+8)
    摘要: 〈한국어 초록〉
    한국어 감탄사에 관한 연구는 기존의 감탄사의 개념과 정의에서 시작하여 음운과 형태 변화 등 연구에 이어 최근에는 새로운 연구 방법에 따른 화용적인 의미 기능 연구 등 다양한 연구들이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대만의 한국어 학습자에게 한국어 감탄사를 교육함에 있어서 문맥과 담화 태도에 따라 다양하게 의미가 해석될 수 있는 감탄사 담화표지의 의미 기능을 주제로 고찰해 보고자 한다. 우선 제1장 서론에서 선행 연구를 통해 한국어 ‘감탄사’에 관한 기존 연구를 살펴보고, 말뭉치 자료 분석을 통해 현대 한국어 가운데 사용 빈도수가 높은 감탄사를 유형별로 선정해 연구 대상으로 고찰해 본다.
    본론인 제2장에서는 한국어 9품사 중에서 독립언에 속하는 한국어 감탄사가 문장성분에서도 독립 성분을 구비된 독립어로서 어휘의 문법화 형태 및 담화적 의미 기능 분석에 관련된 기존 연구를 통해서 감탄사와 구별되는 감탄사 담화표지의 기본 이론 배경을 살펴보면서 텍스트 및 담화 측면에서 본 감탄사 담화표지로써의 개념과 정의 및 그 의미 기능에 대해 폭넓게 고찰한다. 동시에 연구 대상인 선정 감탄사가 감정, 의지, 입버릇 및 더듬거림 등 기존 분류 기준의 범주에서 선정되었음을 밝힌다.
    제3장에서는 감정 감탄사 담화표지 ‘아이고’류, ’대박’, ’헐’ 등 선정 어휘들에 대해 사전적 의미뿐만 아니라 기존 연구를 토대로 오늘날 현대한국어에 나타난 용례를 통해 문맥과 담화 태도에 따른 다양한 개별적 의미 기능과 문맥적 담화 태도 유형을 분석한다.
    제4장에서는 의지 감탄사 담화표지 ‘여보’류, ’안녕’, ’파이팅’, ’그래’류, 그리고 제5장에서는 입버릇 및 더듬거림 감탄사의 담화표지 ‘뭐’류, ’저’류의 선정 어휘들의 문법화 형태와 의미 기능을 분석 연구한다.
    마지막에 제6장 결론에서는 본문 연구 내용의 요약과 아울러 대만인 학습자뿐만이 아니라 해외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 과정에 있어서 감탄사 담화표지적 특성을 통한 입말 교육을 강화해 한국인과의 감정을 교류하며 보다 원활한 의사소통의 효율을 제고시켜 나갈 수 있기 위해서는 반드시 감탄사 담화표지에 관한 교육의 필요와 가치가 충분히 있음을 강조하고자 한다.

    주요어: 감탄사, 담화표지
    {‘아이고’류, ’대박’, ’헐’, ’여보’류, ’안녕’, ’파이팅’, ’그래’류, ’뭐’류, ’저’류}


    〈ABSTRACT〉
    A Study on Functional Meanings of Korean Interjection Discourse Markers

    Cheng, Hsiao-Hui

    The purpose of this study Explore from the perspective of a Taiwanese learner, and analyze the meaning of Korean interjection discourse markers and discourse attitude. First, we examine the existing research on Korean interjection through previous research in Chapter 1, and through corpus data analysis, we select that interjections are frequently used in modern Korean type for research.

    In Chapter 2, interjection belonging to the independent language and among the 9 parts of Korean language and also belong to the independent language with the independent component in the sentence component. here organize the types of selected interjections and conduct research on morphological analysis. There are several names for interjection that are often used in written and spoken languages, for example, exclamation, interjections, minor utterance and discourse marker etc. Look at the background of the theory through existing studies related to the grammatical, discourse functions, discourse marker, meanings of Korean interjections. At the same time, understanding the different interjection 's titles name the reason for using, so investigating the interjection and the discourse marker.

    In Chapter 3, deeply study emotional interjection and select emotional interjections ’아이고’[aigo]category, ’대박’[daeba], ‘헐’[her]of the discourse markers. Here use the meanings defined in the Standard Korean Dictionary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first, and then use other dictionary, references and books and then analyze the data again. In terms of form, meaning, and phonology, let us to understand the relation of emotional interjection and discourse makers. We consider and summarize the various meanings, not only the dictionary meaning, but also the context and discourse attitude.

    In analysis of chapters 4 and 5 like Chapters 3 in the same way, we deeply study the will interjections and mouth habits or stuttering interjections. We select the will interjections ‘여보’[yeobo]category, ‘안녕’ [annyeong], ‘파이팅’ [fighting], ‘그래’[geurae]of the discourse makers and the mouth habits or stuttering interjections ‘뭐’[mwo]category, ‘저’[jeo]of the discourse makers. Here also use the meanings of Korean Dictionary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and then use other dictionary, references and books and then analyze the data again. In terms of form, meaning, and phonology to understand the will interjection and mouth habits or stuttering interjection and discourse makers. Last, we consider and summarize the various meanings, not only the dictionary meaning, but also the context and discourse attitude.

    In Conclusion, Chapter 6 summarize and organize the contents of this study about the interjections and discourse markers mean and this research can check from last part references data. The end, we hope that it will help all in the study of language acquisition.

    Key words: interjections, discourse markers { ‘아이고’[aigo]category, ’대박’[daeba], ‘헐’[her], ‘여보’[yeobo]category, ‘안녕’[annyeong], ‘파이팅’[fighting], ‘그래’[geurae], ‘뭐’[mwo]category, ‘저’[jeo]}
    显示于类别:[韓文系所] 博碩士論文

    文件中的档案:

    档案 描述 大小格式浏览次数
    index.html0KbHTML158检视/开启


    在CCUR中所有的数据项都受到原著作权保护.


    DSpace Software Copyright © 2002-2004  MIT &  Hewlett-Packard  /   Enhanced by   NTU Library IR team Copyright ©   - 回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