摘要: | 언어는 공시적으로 사회성을 가지면서 통시적으로는 꾸준히 변화하는데, 언어의 통시적 변화를 언어변화(change of language)라고 한다. 언어변화는 음운, 어휘, 문법,의미 등 언어를 구성하는 모든 부분에서 일어난다. 본고에서는 호칭어 중에서 한국어 ‘선생님’과 중국어 ‘先生’이 고대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통시적으로 다양한 고문서와 용례(concodence)를 통해서 그 의미자질이 어떻게 변해 왔는지를 비교해 보았다.
한국어 ‘선생님’은 의미자질상에서는 신라, 고려, 조선시대에는 [사람][가르치는 사람][존경][존칭][학문][남성][관직][나이많은 사람][전문성][관직]에서 현대에는 [남성][여성][가르치는 사람][통칭][전문성][학문][존칭][존경]의 의미자질이 변화한다. 그리고 통시적으로 ‘先生’에서 ‘션’, ‘선생’, ‘선생+님’, ’선생님’으로 형태적 변화가 일어난다. ‘선생님’이라는 호칭어는 제도, 풍습, 관습이 변화함에 따라서 그 의미가 일반화(generalization) 되어지는 경향이 나타난다. 여성(gender) 위주의 호칭보다는 여성과 남성을 동시에 호칭할 수 있는 중립적 표현의 호칭어를 찾게 되면서 ‘선생님’의 사용이 더욱 빈번해지고 있다. 한국어 ‘선생님’은 현대에 와서 중립적이고 수평적인 문화를 추구하려는 현대 한국 사회적 원인(social cause)에 의해서 극존칭의 사례가 점차 줄어들고 ‘의미의 확대’가 일어나고 있다. 심지어 상대방의 주목을 끌기 위해서 ‘호출어’로서의 기능까지도 확대되어 간다.
중국어 ‘先生’의 형태 변화는 없으나 통시적인 의미 변화가 上古시대에는 [人類][男生][尊敬][長輩][學問][專業]의 의미자질로 실현되었다가 中古시대에는[人類][長輩][學問][專業][男生][老師][尊敬]으로 특히 [老師]의 의미가 확대되고 近代에는 [人類][長輩][老師][老公][男生][女生][尊敬][通稱]으로 실현되면서 [通稱]으로까지 확대된다. 現代에는 [人類][老師][老公][男生][尊敬][通稱][妓女]으로 일부 ‘여성’에까지 의미가 확대되는데 상해지역의 기녀를 호칭할 때, 공산당혁명에 공헌하였거나 학문적으로 우수한 ’여성’에 대한 ‘극존칭’으로 사용한 적이 있다. 중국어 ‘先生’은 老師’와 ‘老公’의 의미는 축소되고 [男生][尊敬][通稱]으로서 ‘의미의 축소’가 나타나고. 양안간에는 차이점은 중국은 유사어로 ‘同志’와 ‘師傅’가 빈도수가 확대되는 반면 대만은 ‘老師’의 빈도수가 확대되면서 서로 다른 언어 사용 양상이 나타난다. 중국어에서 ‘先生’은 시대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그 의미가 줄곧 존칭으로만 쓰였고 폄칭(貶稱)이나 비칭(卑稱) 쓰인 적이 거의 없고 특정 계층에만 사용되어지기도 하고 동시에 ‘일반 남성’을 통칭함으로써 그 의미 영역을 설정하기가 상당히 어렵다. 중국어 ‘先生’은 어떤 특정 계층에 국한되어 사용되기 보다는 [男生]에 대한 보편적인 [尊敬]의 의미로 더욱 자리 잡아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Language has a diachronic and social nature, and diachronically constantly changes. A diachronic change of language is called a change of language. Language change occurs in all parts of phonology, vocabulary, grammar, and semantics. In this study, we compared how the semantic features of the Korean '선생님(sengsaegnim)' and the Chinese '先生(xiansheng)' have changed through various ancient documents and concodence from ancient times to the present.
The morphological change of ‘선생님(sengsaegnim)’ in Korean occurs diachronically from ‘先生(sengsaeg)’ to ‘션’, ‘선생’, ‘선생+님’ and ‘선생님’. In terms of semantic features, in the Silla, Goryeo, and Joseon dynasties, '先生' in Korea a diachronic change in meaning was realized in [human] [teacher] [respect] [honor] [study] [male] [official position] [older people] [professionalism] [official position], In modern times '선생님' in semantic features was realized in [male] [female] [teacher] [common name] [professionalism] [academic] [honor] [respect]. The terms of address '선생님' tends to be generalized as the public office, customs. The use of 'sengsaegnim ' is becoming more frequent as we are looking for a neutral expression that can call both a woman and a man at the same time rather than a gender-oriented title. The number of cases of '선생님' in Korean is gradually decreasing and 'widening of meaning' is taking place due to the modern Korean social cause to pursue a neutral and horizontal culture. Even '선생님' of the the function as a 'summons' is expanding in order to attract the attention of the other party.
There is no change in the grammar form of '先生' in Chinese, but '先生' in Chinese a diachronic change in the meaning. '先生' was realized in the Old Age as [human] [man] [honorific] [elder] [scholarship] [professional] [virtue], '先生' was realized in the Middle Ages [teacher] in particular, '先生' was expanded to [virtue] [scholarship] [professional] [man] [teacher] [honorific]. And in the later generations, it was realized as [honorific] and was expanded to [generic name] to man. In the modern era, the using of 'woman' is extended to use as 'extreme honorific' for a woman. As ‘masculine, honorific title, common name’, ‘pejeorative of meaning’ appears and the meaning of replaceable ‘老師’ and ‘老公’ , in addition to, the semantic features '先生' in Chinese are expanded. The frequency of '同志' and '師傅' increased in China, while the frequency of '老師' increased in Taiwan at the CORPUS frequency, we can find different language usage patterns in cross-strait . In Chinese '先生' has been used only as an honorific name despite the changes of the times. It is used only for a specific class and at the same time as a generic term for 'general men'. It can be said that the Chinese word ‘先生’ is becoming more established as a universal meaning for [honorific] [male] rather than being limited to a specific clas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