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化大學機構典藏 CCUR:Item 987654321/38238
English  |  正體中文  |  简体中文  |  全文筆數/總筆數 : 46965/50831 (92%)
造訪人次 : 12665549      線上人數 : 669
RC Version 6.0 © Powered By DSPACE, MIT. Enhanced by NTU Library IR team.
搜尋範圍 查詢小技巧:
  • 您可在西文檢索詞彙前後加上"雙引號",以獲取較精準的檢索結果
  • 若欲以作者姓名搜尋,建議至進階搜尋限定作者欄位,可獲得較完整資料
  • 進階搜尋
    主頁登入上傳說明關於CCUR管理 到手機版


    請使用永久網址來引用或連結此文件: https://irlib.pccu.edu.tw/handle/987654321/38238


    題名: 「漢字語名詞+‘ha-da’」之機能與意義研究 -‘ha-da’與漢語動作動詞的對應比較-
    A study on the meaning and function of Chinese character words with " ha-da".-A comparison between "ha-da" verbs and Chinese action verbs-
    作者: 李順子
    貢獻者: 韓國語文學系
    關鍵詞: 韓文HA-DA
    Korean word ‘ha-da’
    日期: 2017
    上傳時間: 2017-10-03 10:49:37 (UTC+8)
    摘要: 본 논문은 한국어 [한자어 명사 + ‘하다’] 동사를 위주로 선행명사와의 결합관계에 따른 ‘하다’의 기능과 의미를 고찰해 본 연구이다. 또한 한국어 동사 ‘하다’와의 중국어의 대응 양상도 살펴본다. 본 연구의 동기는, 한자를 문자로 사용하고 있는 대만인 학습자들이 외국어로서 한국어를 배우는 과정에 있어서, 이미 알고 있는 한자어를 충분히 활용하여 한국어 기본 문장 유형의 분류 기준이 되는 서술어 교육의 효율을 드높였으면 하는 바람에서이다. ‘하다’와 중국어 동사를 대응시킬 때, 한국어 ‘하다’의 의미와 기능이 중국어로 어떻게 표현되는가 하는 점을 염두에 두어 ‘하다’와 결합하는 같은 한자어를 쓰는 대만인으로 하여금 선행요소와의 결합구조를 형성할 때 ‘하다’를 학습하는데 좀 더 쉽게 접근시키고자 했다.
    본문의 내용과 그 연구 방법에 있어서는 우선 제2장에서는, 연구의 이론 바탕이 되는 ‘하다’의 기본 의미와 기능을 ‘하다’의 문법 범주에 대한 기존의 관점에서 고찰해 본다. 이를 토대로 제3장에서는, ‘하다’와 결합하는 선행명사를 고유어와 한자어로 분류하는 동시, 다시 실체성 명사와 비실체성 명사로 나누어 구체적인 의미 분류를 시도해 보았다. 제4장에서는 이상을 통해 얻어진 선행요소들의 의미 특징에 근거해 한국어 ‘하다’와 중국어 동사와의 대응 관계에 대한 필자의 소견을 밝혀 정리해 본다.
    결론으로 이상의 연구를 통해 얻어진 바를 요약해 밝혔다. ‘하다’와 결합하는 선행요소 중 비실체성 명사와의 결합은 매우 생산적인데, 이것은 ‘하다’ 자체의 동작성, 상태성이라는 의미 자질과 선행어의 비실체성이 어울리기에 적합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중국어는 비실체성 명사와 결합할 때 ‘하다’와 같은 동사를 따로 대동하지 않아도 동작성이나 상태성을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오히려 비실체성 명사보다는 실체성 명사와의 결합에 다양한 동사가 사용되었다. 이에 ‘하다’를 중국어로 해석할 경우 대응되는 중국어 동사로는 ‘做’, ‘進行’, ‘打’, ‘幹’, ‘辦’, ‘弄’, ‘搞’, ‘作’등이 있었는데 그 가운데 ‘做’가 가장 보편적인 대응양상으로 나타났다.

    주요어 : 한국어 ‘하다’, 중국어 ‘做’, 한자어선행명사, ‘하다’의 의미와 기능
    In this thesis, I analyzed semantic relationship between ‘ha-da’ and the Chinese nouns that precede it, based upon their combinational system.
    I am also going to show you ‘ha-da’ used as a verb and their correspondence. The paper aims at researching how ‘ha-da’ acts its meaning as a verb, objecting ‘ha-da’ and Chinese verbs. It is because Korea and Chinese are both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so this reason why I compared is because it is easier to study Korean grammar by seeing the interactions between Korean and Chinese.
    The thesis contents contain this information. For the second unit of the thesis, I revealed the fundamental meaning and function of ‘ha-da’ from an already existing grammatical category. Subsequently, for the third unit of the thesis I divided preceding nouns into Korean and Chinese word and broke these two into substantial and non-substantial nouns. Based on the categorization, for the fourth unit of the thesis I have discovered the range of semantic characteristics of the preceding structural elements and also stated my views on semantic relationship between ‘ha-da’ and Chinese verbs.
    Lastly, I put all topics of the units together and made a conclusion. The conclusion’s combination of ‘ha-da’ and non-substantial nouns is very productive since its conditional aspects and movement-related characteristics of ‘ha-da’ go along well with the abstractness of the nouns. But in Chinese, even when the verb is not combined with the non-substantial nouns, it still can express the actions and the situations. Therefore, it is better to combine substantial nouns with the verbs. Some examples of ‘ha-da’ in Chinese are ‘做’, ‘進行’, ‘打’, ‘幹’, ‘辦’, ‘弄’, ‘搞’, ‘作’. But out of all, the one that is the most similar to ‘ha-da’ is ‘做’.


    Key words:
    Korean word ‘ha-da’, Chinese word ‘做’, Chinese preceding nouns, ‘ha-da’ meanings and functions
    顯示於類別:[韓文系所] 博碩士論文

    文件中的檔案:

    檔案 描述 大小格式瀏覽次數
    index.html0KbHTML293檢視/開啟


    在CCUR中所有的資料項目都受到原著作權保護.


    DSpace Software Copyright © 2002-2004  MIT &  Hewlett-Packard  /   Enhanced by   NTU Library IR team Copyright ©   - 回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