摘要: | 慣用語(idiom)以形態上來看,分為單字型、片語型、句子型,其意義不是所構成要素的集合意義,而是該語言使用者比喻心理的作用,進而表現出特別的意義是其特點。
比喻(similie)是以類似的某種事物或觀點說明他事。比喻能使語言表達更豐富且更活潑,有提升構想即時性的效果。
形成慣用語的主要原因有很多,但心理因素在慣用語的生成中為其根本,像這樣可以充足表現語言心理因素的方法就是比喻。
本文在語用論、特別是修辭學的層面中,結合比喻的表達方式,更仔細歸納了韓語慣用語的分類。韓語慣用語以直喻、隱喻、借喻、代喻、置換、換喻、曲喻、反語、誇飾、諱飾、婉言、曲語、用典、諧音轉義 等形成,本研究探討了韓語慣用語多樣的表達方式。
관용어는 구, 절, 문장 형태를 취하며, 구성되는 요소의 집합 의미가 아니고 해당 언어 사용자의 비유 심리의 작용으로 특별한 의미를 나타내는
것이 특징이다.
비유 (比喩, similie)란 어떤 사물이나 관점을 그와 비슷한 다른 것을 내어 설명하는 일이다. 비유는 언어 표현을 풍부하게 하고 활발하게 하여 구상 (構想) 의 직관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관용어가 형성되는 여러 요인이 있지만, 심리적 요인에 의한 생성이 관용어의 생성에서 근본이 된다. 이와 같은 언어 심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사용되는 것이 비유이다.
본고에서 화용론, 특히 수사학적 측면에서 비유의 하위 분류를 적용하여 한국어 관용어를 보다 잘게 분류를 시도해 봤다. 한국 관용어는 직유, 은유, 차유, 대유, 치환, 환유, 곡유, 반어, 과장, 휘식, 완언, 곡어, 인용, 해음전이 등으로 형성되어 다양한 표현방식을 취한다는 것을 살펴 보았다. |